본문 바로가기
삶/정보모음집

허클베리 핀의 모험 마크 트웨인 감상문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 Mark Twain

by 홍멍구 2022. 9. 22.
728x90

 

허클베리 핀의 모험 마크 트웨인

 

보통 사람의 시선에서 진행되는 현실세계의 이야기 허클베리 핀의 모험

 

주인공인 헉은 어린아이다. 때 묻지 않은 순수함과 자유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선과 악의 사이에서 늘 고민하며 때때로 이기적임과는 거리가 먼 모습을 보여준다. 저자 마크 트웨인은 어린아이의 시선에서 꾸밈없는 사실을 그대로 전달 함 으로서 그가 전하고자 하는 바를 여과 없이 드러냈다. 어릴 적 봤던 얇은 동화책에선 그저 한 소년의 흑인친구와의 여행 정도로 느꼈지만 지금에서 본 이 소설은 당대 사회상을 신랄하게 비판한 사실주의 성장 소설이다. 남북 전쟁 이후 급격히 진행된 경제적 발전은 물질만능주의와 그에 따른 정서적 황폐화를 불러왔고 이에 대한 비판과 자아 성찰이 헉이 성장해 가면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과 성숙을 통해 우리에게 전달되고 있다.

 

- 저자 마크 트웨인

 

 

1800년대 쓰여진 그의 소설 [허클베리 핀의 모험] 은 가장 뛰어난 소설로 손꼽힌다. 그는 어릴적 부터 흑인들의 말과 노래에 관심이 있었다. 노예출신의 친구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을 즐겼고 그의 장인은 노예폐지론자로 굉장히 유명 했다. 그는 작품에서 강한 유머를 통해 흑인의 문제를 좀 더 가볍게 그러나 사실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노력했다. 그리고 소설의 배경이 되는 미시시피 강에서 일하고 살아왔던 경험이 이 소설에 그대로 드러난다. 그의 이름은 수로에서 일하던 때의 경험에서 비롯되는데 강의 깊이가 증기선이 지나가기에 안전한 수치인 두 길 정도임을 알리는 구호이다. 그는 계몽주의자로서 인종차별을 비판했고 사회비평가로서의 활동이 이를 뒷받침 한다.

 

- 내용

 

톰소여의 모험과 이어지는 허클베리 핀의 모험은 왓슨 아주머니와 함께 자라며 답답함을 느끼는 헉의 모습에서 시작한다. 그는 6천 달러를 가지고 있었고 이로 인해 주정뱅이 아버지에게 납치를 당한다. 늘 술에 취하고 폭력을 일삼던 아버지로부터 도주를 결심한 톰은 치밀한 계획을 통해 도주에 성공한다. 그러나 이전의 구속적인 삶으로 돌아가길 원치 않았던 헉은 뗏목을 타고 자유로운 삶을 위해 떠난다. 잭슨섬에 도착한 헉은 그곳에서 왓슨 아주머니의 흑인 노예인 짐을 발견하고 그와 함께 미시시피 강을 따라 모험을 시작한다. 잡힐 것을 두려워하며 모험을 떠나는 중간 중간 위기가 닥친다. 증기선과의 추돌로 뗏목이 부서지거나 짐이 잡혀갈 위험도 있었지만 황제와 공작이라 지칭하는 자들을 뗏목에 태웠다가 가장 큰 위기를 맞는다. 그들로 인해 짐은 농가에 팔려가게 되고 헉은 고민 끝에 그를 구출하기로 결심 한다. 농가에서 톰의 행세를 하다 톰이 등장하자 둘은 함께 공모하여 짐을 탈출시키기로 한다. 탈출 과정에서 톰은 다리에 총을 맞고 치료를 위해 병원으로 향하던 중 짐이 다시 잡히고 만다. 그러나 그들의 모험 중 이미 짐은 자유의 몸이 되어있었고 헉의 아버지의 사망으로 인해 헉 또한 자유의 몸이 되어있었다. 셀리 아주머니가 자유가 된 헉을 입양하려 했으나 그는 자유를 택하고 떠난다.

 

- 작품 분석

 

1. 사실주의

 

사실주의에 입각한 이 소설은 철저히 인물들에 의해 진행된다. 교양과 예의 범절에서 벗어나 자유로음을 추구하는 헉과 미신을 믿고 온화한 짐, 사기꾼인 왕과 공작 등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고 판타지 적이기 보단 주변에서 볼법한 평범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작품이 진행되는 배경 또한 지극히 현실적으로 미시시피 강이라는 실제 존재하는 곳에서 모험이 진행 된다. 중간중간 사물에 대한 묘사가 굉장히 상세하고 사실적으로 나타 나고 있는 것도 사실주의 요소중 하나다. 그리고 가장 도드라지는 이 작품만의 특징은 역시 방언이다. 등장 인물별로 말이 조금씩 다르며 현실적임을 극대화한다. 트웨인이 어린아이인 헉의 시선으로 미국사회의 모습을 가감 없이 바라보고 묘사한 점 또한 중요 포인트다.

 

728x90

 

2. 인종차별과 노예제도

 

 

이 작품이 쓰인 시기는 남북전쟁이후지만 그렇다고 인종차별이나 노예제도가 전쟁직후 말끔히 해결된 것은 아니었다. 소설의 배경은 노예제도가 만연했던 수십년 전이었고 그는 이것을 통해 아직 사회에 뿌리 깊게 남아있는 흑인에 대한 차별을 고발하려 했을 것이다. 왓슨이나 샐리와 같은 등장 인물은 비교적 선한 백인으로 묘사되지만 결국 이들도 짐을 가족으로부터 갈라 놓는 등 노예제도에 부정함을 깨닫지 못함으로 말미암아 덜 나쁠 뿐이지 나쁨에는 변함이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헉은 짐을 구하러 가는 행동을 지옥에 간다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노예제도가 얼마나 사회에 만연했고 심각했는지 보여준다. 더군다나 짐이 가족들을 되찾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며 슬퍼하는 모습을 보일 때 헉은 가족을 생각하는 심정은 흑인이나 백인이나 다를 것이 없다고 믿는다고 하는데 이는 얼핏 보면 우리가 흔히 동물도 자식 생각 하는 건 인간과 다를 바가 없구나하고 말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느껴진다. 즉 흑인을 백인 혹은 인간과 비슷한 존재로 보는 것이지 그와 동일하게 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순수함과 사실 그대로를 보여주는 어린아이인 헉의 관점이 이렇다는 것은 당대의 차별과 노예제도가 뿌리 깊게 박혀있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3. 성장소설

 

이 소설에서 도드라지는 점 중 하나는 헉의 성장과 성숙이다. 짐과의 모험을 통해 헉은 점점 성장하고 흑인에 대한 잘못된 시선을 바꾸어나간다. 모험을 통해 자연스레 드러나는 짐의 누군가에게 속해있는 것으로 부터의 자유추구, 헉의 사회의 구속과 정신적인 자유의 추구는 읽는 우리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그들의 자유추구에 동참하게 한다.

 

 

감상

 

사전 지식을 어느 정도 습득 한 뒤 책을 읽으니 이곳저곳 작가의 인종차별과 노예제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 주는 부분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검둥이라는 단어의 계속되는 등장은 평소에 친구들끼리 장난칠 때 쓰는 그것처럼 거부감 없이 다가왔다. 그러나 그 거부감 없이 다가온다는 점이 개인적으로는 충격이었다. 흔히 친구들 사이에서 흑형이라는 단어는 피부가 까만 친구들한테만 쓰는 것이 아니라 빼빼마르고 지저분한 친구나 힘만 쌘 친구들에게 종종 쓰인다. 알게 모르게 인종에대한 차별을 자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백인의 황인에 대한 무시가 드러날 때 굉장한 모욕감을 느낀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 우리는 너무도 아무렇지 않게 흑인을 무시하고 있었다. 헉이 성장하며 모험을 통해 우리에게 보여주려 했던 것이 바로 이런 것 아니었을까? 지옥에 간다라는 표현이나 흑인도 백인처럼 가족 생각 하는건 같구나 라는 말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건 단지 흑인에 대한 관점이 변하고 성숙해 졌음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보다는 개인적으론 아직도 우리들 생각 한편에 미처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는 차별의식이 그대로 배어 나오는게 아닐까 한다.

728x90

댓글